소스트리를 실행했는데 로고만 뜨고 창이 뜨지 않아서 구글링을 했으나
다시 설치해도 실행이 안된다는 후기가 많아 재설치는 패스.
일반적인 해결법으로는
C:\Users\name\AppData\Local\Atlassian\SourceTree.exe_Url_xx..xx
경로의 파일을 삭제하면 실행은 되나 초기설정도 삭제된다길래
해당 파일의 캐시파일만 삭제하면 되지 않을까...하는 생각을 테스트 진행.
1. 위 경로(C:\Users\name\AppData\Local\Atlassian\SourceTree.exe_Url_xx..xx) 로 이동합니다.
그러면 4개 파일이 있습니다.
느낌상
Startup.Profile
user.config
파일들은 설정파일로 보여지니
Assemblies.cache
Composition.cache
캐시파일만 삭제하고 다시 소스트리를 실행시킵니다.
오! 소스트리 설정파일 살린 채로 소스트리가 실행됩니다!!
아하하하하핫
끝!!
p.s.
참고로 소스트리는 잔버그가 꽤 많은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.
이러한 잔버그의 불편함보다 편리함이 많으니까 사용하지 않을까요...?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ourceTree] Branch(브랜치) 변경하기 (2) | 2023.10.10 |
---|---|
[Sourcetree] 소스트리 원격 아이콘 느낌표 없애기 (0) | 2023.06.21 |
[Github] Personal access token 생성하기(Sourcetree Authorization Password) (0) | 2023.05.23 |
[Sourcetree] 제거(Remove), 폐기(Discard) 차이점 (0) | 2022.11.30 |
[Sourcetree] Bitbucket Google 계정 Clone 하는 방법 (0) | 2022.11.21 |